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밀리의서재
- 결혼준비
- 후암1구역
- 후암동재개발
- 숙대입구
- 단독주택재건축
- 특계4구역재개발
- 내돈내산
- 서후암
- 통합개발추준위
- 서후암재개발
- 존맛탱
- 재건축
- 통합개발
- 서울역재개발
- 통합재개발
- 특별계획구역
- 후암동재건축
- 후암동
- 신혼부부데이트
- 재개발
- 간단한저녁
- 밥상차림
- 특계4구역
- 용산재개발
- 간단한집밥
- 판타지소설추천
- 신혼부부
- 집밥
- 서울재개발
- Today
- Total
평범한 30대, 아기아빠 블로그
안전불감증, 도대체 무엇인가? 왜 반복되는가? 본문
참담한 소식을 봤다…
https://naver.me/5Bkeiuyr
스타필드 안성서 번지점프 60대 추락사..."참담, 철저히 조사하겠다"
26일 오후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스타필드 내 스포츠 체험시설 '스몹' 내에 설치된 번지점프 체험기구에서 60대 여성이 추락해 숨진 사고가 발생했다. 이와 관련 스타필드 운영사인 신세계프라퍼
n.news.naver.com
기사의 내용은 굳이 들어가보지 않아도 알 수 있다.
추락사… 얼마나 아프고 끔찍한 일인가, 본인도 그러하겠으나 가족들은? 고인의 명복을 빈다.
안전을 업으로 삼는 입장에서, 안전불감증이라는 것은 참 새롭지도않은 개념이다.

1. 안전불감증이란?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잃는 현상을 말한다.
안전불감증
위험에 노출되는 것에 대한 가능성이나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한 의식이 둔해지면서, 사고의 위험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상태를 일컫는다. | 외국어 표기 | 安全不感症(한자) |
m.terms.naver.com
보통은 사고경험으로부터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되지만, 반복되는 안전은 오히려 위험을 간과하는 행동을 하게 만든다는거다.
이러한 상황은 인간의 특성 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때문에 안전불감증은 없어지진 않을거다. 아쉽지만…
이런 안전불감증은 우리 자신과 주변 사람들에게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불감증을 극복하고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다시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2. 안전불감증을 없앨 방법은?

안전불감증을 극복하는 건 결코 어렵지 않다.
주의 깊게 생각하고 행동하면 충분히 이겨낼 수 있다.
여기 몇 가지 방법이 있다.
1. 자각하고 인식하다
자기 자신이 안전불감증에 빠졌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첫걸음이다. 일상에서 작은 부주의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스스로 안전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고, 반성하는 습관을 기르자.
2. 교육과 훈련에 참여하다
정기적인 안전 교육과 훈련에 참여해야 한다.
새로운 장비나 기술, 절차에 대한 교육은 안전 의식을 강화하고, 위험 상황에서 적절하게 대처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한다.
3. 안전 문화 조성에 기여하다
직장이나 일상 생활에서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여기는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하자.
안전 관련 제안이나 우려사항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개방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개선하다
안전은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영역이다.
사고가 없다고 해서 모든 것이 잘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안전 관련 정책, 절차, 실습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개선해야 한다.
안전불감증을 극복하는 것은 개인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조직적인 지원과 문화의 변화도 필요하다.
우리 모두가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노력한다면,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추가적인 관련뉴스
https://n.news.naver.com/article/422/0000525963?sid=102
반복되는 후진국형 사고들…'안전불감증' 아직 만연
[앵커]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부터 광주 화정 신축공사장 붕괴사고까지, 모두 안전불감증에서 비롯된 전형적인 후진국형 사고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최근 5년간 안전불감증이 불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417/0000958397?sid=101
여전한 건설현장 '안전불감증'… 3분기에만 65명 사망
국토부, 100대 업체 중 14개사 20명 숨져 올 3분기 전국 건설 현장에서 사망한 근로자가 65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한 현장에서 2명 이상 사망한 사례도 있었다. 건설 현장 사망사고는 '중대재해 처벌
n.news.naver.com
https://mobile.newsis.com/view_amp.html?ar_id=NISX20240307_0002652721
'안전불감증 화물차' 쇠막대기 끼고 달린다…경찰, 18건 단속[르포]
[수원=뉴시스] 양효원 기자 = "화물차가 덜컹거리다가 쇠막대기 같은 것이 고속도로에 떨어진다고 생각해 보세요
mobile.newsis.com
https://m.yna.co.kr/amp/view/AKR20240229141500505
[OK!제보] 불나면 어쩌려고 소화전 앞에 주차…거리 위 안전불감증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홍지희 인턴기자 = 화재 진압을 위해 반드시 비워둬야 할 소화전 주변에 불법주정차가 빈발해 유사시 화재 피해를 키울 수 있다는...
www.yna.co.kr
'간단한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사비 천만원 시대 성큼, 난리났네 (1) | 2024.02.24 |
---|---|
‘재개발 1+1 입주권, 추가주택 30평형까지 늘린다, 법안 발의’ 소형지분에게 미치는 영향은? (1) | 2024.02.23 |
2023년도 연구실안전관리사 2차시험 후기 (1) | 2023.10.14 |
진짜 안 외워지는 내 기억력, 공부 중 암기를 잘 하는 방법 10가지 (1) | 2023.10.08 |
3년으로 늘어날 육아기 단축근무 등등 고용노동부피셜 모성보호제도 강화 내용 (0) | 2023.08.29 |